Page 24 - 2013_48
P. 24

도 운봉고원 내 가야계 고총에서 나왔다.                 할을 수행할 수 있었던 것도 철의 힘이다.

                   아직까지 금관가야나 대가야에서 출토되                   운봉고원을 무대로 찬란히 꽃피웠던 마한
                   지 않은 최상급 위세품으로 운봉가야의 역                 왕의 달궁터도, 운봉가야의 눈부신 발전
                   사적인 위상을 최고로 높였다.                       상도, 우리나라의 철불이 실상사에서 최
                                                          초로 만들어진 배경도, 모두 철과 밀접한

                   삼국시대 이후 운봉고원의 제철유적이 문                  관련이 있다. 따라서 운봉고원의 제철유
                   헌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고려시대 이전                 적은 ‘십승지’ 혹은 ‘신선의 땅’으로 회자
                   에 개발됐을 가능성이 높다. ‘세종실록지                 되고 있는 운봉고원의 숨겨진 비밀이 담긴
                   리지’와 ‘동국여지승람’에 철산지가 일목                 블랙박스와 같은 것이다.

                   요연하게 소개되어 있는데, 운봉고원의
                   제철유적은 한 곳도 실려 있지 않기 때문                 삼국시대 운봉고원에 꽃피운
                   이다. 삼국시대 니켈이 함유된 운봉고원                                       가야문화
                   의 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고급

                   위세품을 운봉가야에 보낸 것으로 추측된                   삼국시대 때 백제와 신라의 국경을 형성
                   다. 백제의 위세품을 비롯하여 대가야와                  했고, 조선시대 전라도와 경상도를 갈라
                   소가야의 최상급 토기류가 공존하는 것도                  놓는 경계선이 백두대간이다. 백두대간
                   운봉고원의 철 생산과 관련이 깊다.                    산줄기 동쪽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

                                                          고 전북에 속한 곳이 운봉고원이다. 조선
                   인류의 역사 발전에 철의 공헌도가 매우                  시대 ‘정감록’에 사람들이 살기 좋은 십승
                   높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고대국가를                  지에 그 이름을 올린 운봉고원은 달리 ‘신
                   출현시켰고, 대가야가 후기가야의 맹주역                  선의 땅’으로도 유명하다. 백제의 중앙과

                                                                          가야를 최단거리로 이
                                                                          어주는 간선교통로가
                                                                          통과하던 교통의 중심
                                                                          지이자 전략상 요충지

                                                                          이다.


                                                                           운봉가야의 존재가 처
                                                                          음 알려진 것은 1982년
                                   월산리와­두락리­고분군­전경




                                                                                                     23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