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2014_52
P. 29

어야 칼을 만들 수 있었다.
                                                           지리산 운봉은 철의 생산지였다.
                                                           가야 때부터 양질의 철이 생산되던 운봉고원
                                                           은 일본으로 철을 수출 할 정도였고, 그 철
                                                           을 다루는 대장간이 많았다. 그러자니 철을
                                                           다루는 기술 또한 우수했다. 한때는 인월에
                                                           대장간이 여섯 개나 있었다는 구전의 이야기
                                                           도, 그 같은 상황을 짐작하게 해준다. 이러한
                                                           이야기는 칼조차 챙기지 못하고 허겁지겁 퇴
                                                           각하던 상황에서, 칼이 필요했던 왜군이 운

                                                           봉으로 오게 된 첫 번째 이유로 보인다.
                                                           다음은  왜군  병사들  개인용  나무  그릇이었
                                                           다. 섬나라 사람들의 특징인 국 없이 밥을 먹
                                                           지 못하는 것은, 전쟁 통에도 예외일수가 없
                                                           었다. 그래서 나무로 만든 개인용 국그릇을
                                                           가져야 했기에 목기의 재료와 기술을 가진 운
                                                           봉을 택한 것이 두 번째 이유로 보인다.
                                                           그리고 또 하나는 말발굽 편자였다.
                                                           말이 가지는 기동력은, 말발굽의 관리가 생
                               황산대첩­비문
                                                           명이었다. 전쟁 중에 많은 이동과 불편한 길
                   릇, 그리고 닳아버린 말발굽용 편자가 필요                 을 다녀야했던 말발굽에는 다양한 맞춤형 편
                   했을 것이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곳이 지               자가 있어야 했고 그것은 쉽게 확보할 수 있
                   리산 운봉이라고 판단했던 것 같다.                     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 또한 대장간과 철과
                   왜군들은 전쟁에 나갈 때는 반드시 세 가지                 훌륭한 쇠 다루는 기술이 있어야 가능했다.
                   를 챙겼고, 그것들을 목숨과 같이 여겼다고                 그곳이 운봉고원이었고 인월이었다.
                   한다.                                     그래서 그들은 전략상 그리 유리해 보이지도
                   남원을 방문했던 고려 말 황산전투에 참가했                 않는 인월 중군동에 진을 치게 되었는지도 모
                   던 말발굽 편자 병의 후손은 그와 같은 이야                를 일이다. 이 세 가지가 다시 갖추어지면 왜

                   기를 들려주면서, 그 세 가지를 모두 잃어버                군의 전력은, 상상을 초월한 전투력을 다시
                   린 왜병들이 지리산으로 그것들을 구하러 갔                 회생 시킬 수가  있었다. 고려군은 아마도 그
                   을 것이라고 했다.                              것을 염려했을 지도 모른다. 그래서 급하게
                   그  세가지중  기본적인  것은  전투용  칼이었             이성계장군을 운봉으로 보냈고, 다급한 전투
                   고, 병사들마다 가졌던 개인용 나무그릇이었                 를 해야만 했던 것은 아닐까?
                   으며, 말발굽 편자용 쇠가락이었다. 칼은 대                지리산 운봉이 전략적 요새를 갖춘 지역이라
                   장간이 있어야 만들 수 있고 대장간은 철이 있               는 이야기만으로는, 지리산 운봉에서 벌어져



                                                                                                    29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