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남원시청주요 누리집 한눈에 모아보기 !

아래 마이크를 클릭하세요!

닫기

음성인식중 말씀해주세요.

닫기

[000]

"000"로 검색이 완료되었습니다.
결과페이지로 이동하시려면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취소 확인

동충동 행정복지센터

용성관 석물

용성관 석물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용성로 29
  • 종목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 104호
  • 시대 : 통일신라시대
  • 지정일 : 1984.4.1

용성관은 조선시대 관원들의 숙소로 사용된 건물로, 그 규모가 웅대하여 남원 광한루, 관왕묘와 함께 고대건물의 3걸로 불리웠다.
한때는 조선 태조의 전패(殿牌:전(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왕의 상징임)를 모시어 ´휼문관´이라고도 하였으며, 이 후에 불에 타 다시 짓는 등 몇 차례의 보수 과정을 거쳤다.
한국전쟁 때 또다시 불에 타 지금은 건물의 기단 70여m와 이 계단석물 1기만 남아있다.
잘 다듬은 계단은 아래의 난간 양쪽에 반원을 그리듯 둥글게 처리된 석물이 놓여있는데, 표면에 도깨비상을 조각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현재 용성관터는 용성초등학교가 들어서 옛 모습이 전혀 남아있지 않고 이 석물도 초등학교의 본관계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용성관이 처음 건립된 시기는 통일신라 신문왕 11년(691)이나 몇 차례의 재건으로 인해 이 석물의 정확한 제작연대는 알 수 없다.

용성관은 통일신라 신문왕 11년(691년)에 건립되어 조선시대에는 객사로 사용된 건물이다.
한때는 조선태조의 전패(殿牌)를 모시어 일명 휼민관(恤民館)이라고도 하였다 한다.
이 휼민관은 정유재란을 맞아 남원성이 위태롭게 되자 병마사 이복남(兵馬使 李福男)은 본관을 그대로 두면 태조의 전패가 왜적에게 욕을 당할까 염려되어 소각하였다.
그 후 광해군 12년(1620년)에 부사 최여립(崔汝立)이 휼민관을 재건하였으나 불행하게도 얼마 안되어 화재로 소실되고 남쪽의 중문(中門)만 남게 되었다.

그후 숙종 6년(1680년)에 부사 정동설(鄭東卨)이 재건에 착수하여 숙종 16년(1690년)에 부사 정협(鄭峽)이 대청을 완성하였다.
그러나 6.25때 폭격으로 또다시 전소되는 비운을 맞게 되었다.
이 용성관은 그 규모가 웅대하여 남원의 광한루(廣寒樓), 관왕묘(關王廟)와 더불어 고대 건물의 3걸로 불리어 왔으나, 지금은 용성초등학교 본관 계단으로 사용되는 돌계단 1기와 용성관 기단 70여m만이 남아 있다.
당초에는 계단 1기만 지정되었으나, 1994년 7월 15일 석물 29기를 추가로 지정하였다.

(자료제공 : 남원문화원)

부가 정보

이곳에 흩어져 있는 몇 점의 돌들은 그 옛날의 용성관 건물에서 나온 것들이다.
용성관은 신라 신문왕 11년(691)에 처음 지었다고 하는데, 조선시대에는 외지에서 출장 온 관리의 숙소로 사용하였다.
조선 태조를 상징하는 나무 패를 모셨으며, 백성을 돕는다는 뜻에서 <휼민관(恤民館)>이라고도 불렀다.
이 용성관은 광한루·관왕묘(關王廟)와 더불어 남원의 3대 건물로 일컬을 만큼 규모가 컸다.
정유재란 때 불탔다가 광해군과 숙종 때 다시 지었으나, 6·25를 맞아 또 다시 불탔다.
지금은 70m 가량의 옛 건물 받침부와 용성초등학교 본관 계단으로 쓰이는 돌 1 점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