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남원시청주요 누리집 한눈에 모아보기 !

아래 마이크를 클릭하세요!

닫기

음성인식중 말씀해주세요.

닫기

[000]

"000"로 검색이 완료되었습니다.
결과페이지로 이동하시려면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취소 확인

덕과면 행정복지센터

신양리

본래 남원의 적과면(迪果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때 비내리(扉內里), 양선리(陽先里), 신촌리(新村里)와 오현리(梧峴里), 작소리(鵲巢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촌과 양선의 이름을 따서 신양리라하고 덕과면에 편입되었다. 1995년 1월1일 남원시·군이 통합되어 남원시 덕과면 신양리가 되었다. 신양리에는 작소, 양선, 비촌마을이 있다.

신양리 비촌(扉村)마을

본래 남원의 적과면(迪果面) 비내리(扉內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때 비내리(扉內里), 양선리(陽先里), 신촌리(新村里)와 오현리(梧峴里), 작소리(鵲巢里)의 각 일부가 병합되어 신촌과 양선의 이름을 따서 신양리라하고 신양리에 편입되었다.
비촌마을은 처음 조선조 초기(1390년경)당시 태조 이성계의 고려 왕족 말살로 인해 왕족인 왕씨(王氏) 일가가 옥씨(玉氏)로 성을 바꾸어 이곳 비촌마을로 피신하여 숨어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그후 1400년경 진주 소씨가 입주하여 살다가 미구에 떠났고 조선조 말 광주 이씨 이명천이 이곳에 입주하여 마을을 형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씨들은 이때 마을 변두리에 빙둘러 담을 치고 출입하는 사립문을 만들어 종족이 아닌 타족은 울타리안에 들어와서 살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울안에 사는 종족은 한집안과 같이 우애있게 살았다하여 마을이름을 '사립안''이라 하였는데 지금도 외부에서 이 마을 이씨들을 사립안 이씨라 부를만큼 이름있는 곳이다. 사립안은 한문으로 옮길 때 사립 비(扉)자와 안내(內)자를 써 '비내(扉內)'가 되고 창촌과 합하여 비촌(扉村)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 마을에는 진주 소씨가 마을 터를 차지한 전설이 내려오는데 다음과 같다.
"조선조 초 옥씨가 이 마을에서 부를 누리고 살았는데 부근의 소씨 집에 도사가 찾아와 융숭한 대접을 받고 돌아가면서 보은의 뜻으로 사립안 마을 뒷산에 묘자리를 잡아주고 갔다. 소씨들은 옥씨들의 반대가 예상되어 광대를 불러 마을 앞에서 굿을 하게 하여 마을 사람들의 시선을 돌린다음 묘를 이장하였는데 그후 옥씨들이 차츰 쇠멸하여 마을을 떠나고 소씨가 사립안을 차지하여 부를 누리고 살았다고 한다. "마을의 대종을 이루는 광주 이씨가 이곳에 입주한지는 150여년이 되었고, 1972년 새마을 사업이 시작되면서 1975년 자립마을로 승격 오늘에 이르렀다.
마을 앞으로 섬진강 상류가 흐르고 있으며 주업은 농업이고 부업으로 1농가가 약초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씨족간에 이해를 가리지 않고 비교적 융합이 잘되는 마을이다.
총 가구수는 21호로 농가 20호, 비농가 1호이며, 인구수는 51명으로(남자 25명, 여자 26명)이 살고 있다. 성씨별로는 이씨 17가구, 백씨 2가구, 기타 2가구 거주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
  • 덕과면 소재지로부터 동쪽 4.0㎞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보절면 남쪽으로는 만도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율천마을 북쪽으로는 양선마을을 경계로 연결되어 있다.
리 세(면적)
  • 전답 총면적 26.5ha로써 덕과면 전체면적의 4%를 차지하고 있다.
지 형
  • 동쪽으로는 보절면으로 연결되고 남쪽으로는 훤히 보이는 만도리가 있으며 북쪽인 마을뒤로는 성산, 계룡산 줄기가 뻗어 해발 150m로 산이 총면적의 67.5%를 차지하고 있고 거의가 송림으로 형성되어 있고 산림이 잘 보전되어 있다.
주요산업 및 토산물
  • 미맥위주의 농업을 주로 하고 있어 100% 농림업이며 1가구가 약초재배 및 공장을 운영하여 높은 농가소득을 얻고 있다.
교통 및 통신
  • 국도 17호선에서 시의 군도 14호선을 따라 약 3.5㎞정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농가 전체에 전화가 설치되어 있다.
신양리 양선(陽先)마을

본래 남원의 적과면(迪果面) 양선리(陽先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때 비내리(扉內里), 양선리(陽先里), 신촌리(新村里)와 오현리(梧峴里), 작소리(鵲巢里)의 각 일부가 병합되어 신촌과 양선의 이름을 따서 신양리라하고 신양리에 편입되었다.
양선마을은 조선조 초기 1400년경 진주 소씨가 처음 입주하였으나 그들이 인근 도촌마을로 옮겨 갔고 그후 해주 오씨가 입주하여 살던중 풍양 조씨가 1590년(선조때)에 관직을 잃고 낙향하여 현재까지 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이 마을의 명칭이 붙게된 유래는 보절면 북쪽 성산(城山) 줄기에 계룡산이 있어 아침해가 뜰때 이 마을이 제일 먼저 햇살을 볼수 있다하여 양선(陽先)이라 부르게 되었다.
풍양 조씨가 입주한지 300여년이 되었으나 양선마을의 이름과는 달리 오랜동안 낙후된 마을이었으나 1972년 새마을사업 이후 마을이 혁신 되었으며 계룡산 햇빛을 제일 먼저 보는 마을을 육성하는데 계속 노력하고 있다.
양선마을은 아침해가 솟는 모습이 제일 먼저 보이는 계룡산이 북쪽 1㎞지점에 솟아 있고 동편으로는 하천이 흐르는 동향마을로써 마을앞에 군도 보절선이 통과되고 있으며 주민들이 거의가 친척관계에 있어 협동정신이 강하고 촌제인 당산제가 있었으나 1950년경에 폐지되었다.
총가구수는 27호로 농가 22호, 비농가 5호이며, 인구수는 54명으로 (남자 33명, 여자 21명)이 살고 있다. 성씨별로는 조씨 27가구 박씨 1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 마을에 있는 도화동(桃花洞)은 남원 3·1만세 운동의 발상지이다.

지리적 위치
  • 덕과면 소재지로부터 동쪽 5.0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보절면 동쪽으로는 작소마을 남쪽에는 만도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사율리의 율천과 사곡으로 연결되어 있다.
리 세(면적)
  • 전답 총면적 43.1ha로써 덕과면 전체면적의 7%를 차지하고 있다.
지 형
  • 북쪽에서부터 마을 앞, 뒤, 남쪽으로 보절면 성산 줄기 계룡산이 뻗어 있고 북서쪽으로는 계룡산 줄기가 막혀 있으며, 해발 185m로 산이 총면적의 67.4%를 점유하고 거의가 송림으로 되어 있다. 산림정책에 힘입어 산림이 보존되어 있다.
주요산업 및 토산물
  • 미맥위주의 농업을 주로 하고 있어 100% 농림업이며, 1농가가 축산업을 병행하고 있다.
교통 및 통신
  • 국도 17호선에서 시의 군도 14호선을 따라 약 4.0㎞정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절면과 연결하고 있어 교통소통이 비교적 원활하다. 농가 전체에 전화가 설치되어 있다.
신양리 작소(鵲巢)마을

본래 남원의 적과면(迪果面) 작소리(鵲巢里)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때 비내리(扉內里), 양선리(陽先里), 신촌리(新村里)와 오현리(梧峴里), 작소리(鵲巢里)의 각 일부가 병합되어 신촌과 양선의 이름을 따서 신양리라하고 신양리에 편입되었다.
작소마을은 사육신의 한사람인 성산문의 후예인 창령 성씨 일가가 터잡아 살다가 1400년경 진주 소씨가 이주해 오자 성씨들은 장수방면으로 이주하고 소씨가 흥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성씨(成氏)들이 이곳에 살고 있을때 그들의 부귀가 극에 달하여 주변 마을에서는 만석꾼이라 부르고 지냈는데 그들의 곡식 저장고인 노적위에 까치가 집을 짓고 살았다 하여 '까치골'이라 하다가 한문으로 까치작(鵲)과 집소(巢)를 합하여 작소라 부르게 되었다.
성씨들이 전성을 누리고 살때 이 마을에는 대궐같은 집이 있어 근방에선 가장 호화찬란한 마을이었으나 화재로 마을이 전소된 후 부터는 가난하게 살았는데 1972년 새마을 사업이 시작된 이후 본격적인 발전을 하여 이제는 성씨 일가의 전성시대보다 훨씬 좋은 마을로 탈바꿈하였다. 작소마을은 보절면과 인접하고 생활권이 보절면이며, 학교구역도 보절초등학교에 속한다.
총가구수로는 18호며 농가 17호 비농가 1호이며, 인구수로는 34명 (남자 17명 여자 17명)이 살고 있으며 성씨별로는 소씨 12호, 오씨 3호, 기타 3호가 거주하고 있다.

지리적 위치
  • 덕과면 소재지로부터 동쪽 5.2㎞지점 위치에 있으며 덕보교 다리를 중심으로 보절면 황벌리와 덕과면으로 분리되며 도로의 옆으로는 조그만 냇가가 흐르고 있는 작은마을로 연결되어 있다.
리 세(면적)
  • 현재 전답 총면적 26.1ha로써 덕과 전체면적의 4%를 차지하고 있다.
지 형
  • 마을 뒤로 산이 있고 마을 앞으로는 냇가가 흐르고 있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 해발 150m의 야산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요산업 및 토산물
  • 미맥위주의 농업을 주로 하고 있어 100% 농림업이다.
교통 및 통신
  • 국도 17호선에서 시의 군도 14호선을 따라 약 5㎞정도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보절면과 연결하고 있으며 교통소통이 비교적 원활하다. 농가 전체에 전화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