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아이콘 또는 HTTPS 확인하기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표시된 자물쇠 아이콘과 주소 앞 https://가 있는지 체크하여
보안적용이 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남원시청주요 누리집 한눈에 모아보기 !

남원에가면

Let's go together
NAMWON CITY

판소리

판소리의 이해

"판소리란" 판소리는 한사람의 창자가 소리·아니리·발림 등을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연출하는 극 음악의 하나이다.
한 사람의 고수가 북 장단을 쳐서 반주한다.

소리는 일정한 장단에 맞추어 노래한는 것이고, 아니리는 소리 사이에 설명 또는 대화식으로 말하는 것이며, 발림은 창자가 소리 하면서 하는 몸짓이나 그 외의 표현을 가리키는 것이다.

한편, 고수가 장단을 짚어 주면서 소리끝에 '좋다', '얼씨구' 등을 말하며 흥을 돋우는데 이를 추임새라고 한다.

명창의 판소리하는 사진

동 편 제

"씩씩하고 웅장한 가락의 굵은 맛이 살아있다."

섬진강 동쪽 지역인 남원·순창·곡성·구례 등지에 전승된 소리로서, 가왕으로 일컬어지는 운봉 출신의 송흥록의 소리 양식을 표준으로 삼는다.

우조(씩씩한 가락)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감정을 가능한 절제하며, 장단은 '대마디 대장단'을 사용하며 기교를 부리지 않는다. 발성은 통성을 사용하여 엄하게 하며, 구절 끝마침을 되게 끊어낸다.

  1. 송흥록
    • 송광록
      • 송우릉
        • 송만갑
          • 김정문
          • 김광순
            • 박녹주
              • 박송희
              • 한농선
              • 신영희
            • 강도근
          • 장판계
            • 배설향
          • 박봉례
            • 박봉술
              • 송순섭
          • 김소희
      • 유성준
        • 임방울
        • 김연수
        • 전도성
          • 김원술
        • 정광수
          • 박초월

서 편 제

"서편제는 서글픈 느낌의 계면조가 주조를 이룬다"
일반인들이 판소리의 유파를 크게 동편제와 서편제로 구분한다는 사실을 안 것도 이 영화 때문이다.

그러면 동편제와 서편제는 어떻게 다른가. 동편제는 지역적으로 볼 때 전라도 동쪽 산간인 남원과 구례 등에서 전승된 소리다. 서편제는 보성ㆍ진도 등을 중심으로 전승된 소리다. 그래서 동편제를 '산소리', 서편제를 '마당소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섬진강은 동편제와 서편제를 지역적으로 가르는 경계다.

음악적 요소에서도 동편제와 서편제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동편제는 웅장한 느낌의 우조가 주조를 이루고 서편제는 서글픈 느낌의 계면조가 주조를 이룬다. 전체적으로 동편제가 담백 웅장하다면 서편제는 화려하고 기교를 부리는 것이 특징이다. 동편제는 양반 식자들이 선호했고 서편제는 서민 취향이다.

동편제 창법에 잘 어울리는 것은 적벽가이고 서편제 창법에 맞는 것으로는 심청가를 꼽을 수 있다. 동편제의 비조는 남원 출신 송흥록이다. 그의 소리는 동생 송광록과 그의 아들 송우룡, 손자 송만갑 등으로 이어지면서 꽃을 피웠다. 구례에서 활동한 송만갑(1865 ~1939)은 동편제를 완성시킨 명창이다. 서편제의 비조는 보성에서 활동한 강산 박유전(1835~1906)이다.

민 요

"민요란" 반 대중들 사이에서 구전(口傳)으로 내려오는 전통적인 소박한 노래를 말한다.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는 분명치 않아도 몇 세대를 내려오는 동안 고쳐지고 다듬어져 민족 특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있다.

민요를 내용면에서 분류한다면 노동요, 놀이요, 작업요, 연정요 등등 20여가지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겠지만, 노동과 관계되는 민요가 가장 많다. 우리나라 민요는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부리워지는 통속(通俗)민요와 토속(土俗)민요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통속민요를 민요라 부르고 있다.

민요만큼 지방색이 뚜렷한 노래도 드물다. 말이 지방마다 다른것처럼 민요도 지방마다 음계, 꾸미음, 음악양식에 있어서 각각 다른 특징을 보인다.

  • 경기민요
  • 남도민요
  • 서도민요
  • 동부민요
  • 제주민요

산 조

"산조란" 무속문화에 뿌리를 둔 기층문화(基層文化)의 음악을 높은 차원의 기악독주곡으로 발전시킨 음악이다.
산조는 가야금에서 처음 만들어졌고 이후 거문고·퉁소·대금 산조가 생겨났으며, 해금·피리·아재 산조등이 생겨났다.

산조는 크게 우조, 평조, 계면조의 3가지 조로 구성 되어있다. 우조는 장엄하고 꿋꿋하게, 평조는 화평하고 평안하게, 계면조는 슬프고 한이 담긴 가락으로 되어있다. 이외에 악기와 유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강산제·경조 등을 사용하여 산조를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 준다.

산조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 등의 장단이 쓰인다. 이러한 장단은 판소리와 산조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장단 명칭인데, 특히 산조는 장단별로 음악을 구분하기 때문에 이러한 장단의 명칭들은 빠르기와 리듬형을 가리키는 동시에 각 악장의 이름이 되기도 한다.

산조는 '허튼가락'이라는 말이 있듯이 체계가 없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지만 그 나름대로의 형식을 갖추고 연주된다. 산조는 판소리·시나위와 함께 조선 말기에 생성되었다.